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5월 경조사 완벽 준비 부조금 금액, 하객 복장, 최신 예절 트렌드 총 정리

by Storier 2025. 4. 24.
반응형

5월 가족의 달, 결혼식과 돌잔치, 장례식 등 경조사가 많아지는 시기. 부조금 얼마가 적당할까? 요즘 하객 복장은 어떤 게 좋을까? 최신 트렌드에 맞춘 경조사 가이드를 정리했습니다.


5월은 기념일이 많은 달이기도 하지만, 크고 작은 경조사가 몰리는 시기이기도 해요. 결혼식, 돌잔치, 회갑연, 심지어 장례식까지... 초대받았을 땐 '부조금은 얼마나 해야 하지?', '무슨 옷을 입고 가야 할까?' 같은 고민이 생기죠.

특히 요즘처럼 트렌드가 빨리 바뀌는 시기에는, 한두 해 전 상식이 이미 ‘구식’이 돼버리기도 하니까요. 이번 글에서는 요즘 기준에 맞춰 부조금, 복장, 직장 문화 등 경조사 준비에 꼭 필요한 내용을 정리해봤어요.


💰 부조금, 요즘은 이렇게 달라졌어요

🎀 결혼식 부조금 기준 (2025년 현재 기준)

관계권장 금액설명
가족, 가까운 친척 10만 원 이상 혈연 관계나 특별한 유대감이 있을 경우
친한 친구 7만 ~ 10만 원 서로 결혼 여부에 따라 5 ↔ 10 주고받음
지인, 직장 동료 5만 원 가장 흔한 기본 금액
대학 동문, 동호회 친구 3만 ~ 5만 원 깊은 교류가 없을 경우 3만 원도 자연스러움

🔸 요즘 2030세대는 '균형 있는 부조 문화'를 중시해요. 무조건 많이 내는 게 아니라, '상대와의 관계'와 '예의' 사이에서 절묘한 균형을 찾는 게 핵심이에요.

🕊 장례식 조의금 기준

관계권장 금액설명
부모님, 조부모상 등 직계 친척 10만 원 이상 관계가 가까울수록 금액도 높게
회사 동료나 선배 5만 원 통상적 조의금 기준
친구나 지인 3만 ~ 5만 원 최근 모바일 송금도 증가 추세

💡 모바일 송금도 ‘예외적’으로 허용되는 분위기지만, 전통적인 상황(부모상 등)에선 봉투 전달이 여전히 기본이에요.

🎉 돌잔치, 회갑연, 입학·졸업

경조사권장 금액트렌드
돌잔치, 백일잔치 5만 원 가까운 가족은 7만 원 이상도 가능
회갑연, 칠순 5만 ~ 10만 원 연령대·지역 따라 차이 큼
입학·졸업, 생일 등 3만 원 모바일 송금이 일반적, 부담 없이 전달

🧥 요즘 하객 패션, 어떻게 입어야 센스있을까?

👰 결혼식 하객 복장

  • 여성
    • 베이지, 네이비, 민트 같은 톤 다운된 색상의 원피스 추천
    • 화려한 프릴보다는 단정한 A라인, 셔츠형 원피스가 인기
    • 화이트 계열은 신부와 겹치니 피하는 게 매너
  • 남성
    • 다크 네이비, 차콜 그레이 계열의 정장
    • 최근엔 넥타이 생략 + 무지 셔츠가 더 자연스러움
    • 단화나 로퍼도 OK, 단 너무 캐주얼한 운동화는 피하기

⚫ 장례식 복장

  • 여성
    • 블랙 원피스, 블라우스+슬랙스 조합
    • 액세서리는 최소화, 메이크업도 톤 다운
  • 남성
    • 검정 정장+흰 셔츠+검정 넥타이
    • 벨트, 양말, 구두까지 블랙으로 통일하는 게 일반적

📌 팁: 장례식은 지나치게 눈에 띄지 않는 ‘절제된 복장’이 기본이에요. 포인트 있는 아이템은 삼가세요.


💼 직장 내 경조사 문화도 바뀌고 있어요

  • 부조금 자율화: 예전엔 일괄적으로 팀장님이 걷고 대표로 전달했지만, 요즘은 “참석하는 사람만”이 원칙.
  • NO 경조사 원칙: 일부 스타트업이나 IT 기업은 '경조사 금지' 방침을 두고 있어요. 부담 대신 평등한 조직 문화 선호.
  • 대신 메시지 전달: 참석이 어려운 경우, 카카오톡이나 문자로 ‘짧고 정중한 메시지’ 보내는 것도 기본 매너로 자리잡았어요.

예: “○○님 아버님께서 별세하셨다는 소식 듣고 마음이 무겁습니다. 마음 추스르시길 바랍니다.”


📱 요즘은 모바일 부조도 자연스러워졌어요

  • 카카오페이 송금이 가장 흔함
  • 계좌번호만 알려줘도 조용히 송금하는 ‘언택트 부조’
  • 다만, 부모님 세대나 전통적인 행사에선 여전히 종이 봉투가 기본

✅ 상황별 요약 정리

상황부조금복장트렌드 포인트
결혼식 5~10만 원 톤다운된 원피스/정장 모바일 송금 일부 가능
장례식 5~10만 원 올 블랙 복장 직접 전달 선호, 단정함 강조
돌잔치 5만 원 캐주얼 단정 메시지+모바일 송금 조합 증가
직장 상사상 5~10만 원 단정한 정장 팀 전체보단 개인 단위 전달
졸업·입학 3만 원 복장 자유 마음 중심의 메시지 중요

요즘은 '얼마가 적당할까'보다 '상대방에게 예의는 갖추고, 부담은 줄이자'는 분위기가 강해요. 그리고 겉치레보단 실용적이고 진심이 담긴 방식이 더 좋게 받아들여지는 시대죠.

반응형